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NAND
- WPA-PSK
- 이커시
- wep
- 쉘코드
- 초시대
- 5G
- 무선랜
- sudo
- aircrack-ng
- 2021-3156
- 반사서버
- E14-20T6S04X00
- NOR
- cmd
- 보안이 미래다
- WPA1
- 디스크
- WLAN
- Slim3
- 듀얼부팅
- airmon-ng
- airodump-ng
- DDos
- shellcode
- aireplay-ng
- WPA3
- DOS
- 윈도우
- 디도스
- Today
- Total
목록IT (41)
대학생들을 위한 IT
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임베디드 기기를 위해 나온 MMC 규격. MMC의 구성 요소인 플래시 메모리에 컨트롤러를 통합한 (BGA IC)칩이다. 저가, 저사양 태블릿이나 스마트폰, MP3(Player) 등에 많이 쓰인다. 저가형 노트북에 SSD 대신 eMMC가 장착되어 업그레이드가 어렵게 나옴. (필자는 이 이유로 이 반도체 대해 공부하게 되었고, 이 땜에 피해도 보고, 이 땜에 마냥 안좋아한다. 이 eMMC를...) 두께를 얇게, 무게를 가볍게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데스크톱에서는 HDD나 SSD가 주로 쓰이지만 저가형 일체형 PC나 저가형 노트북 혹은 저가형 미니 PC에선 꽤 쓰임. eMMC은 메모리 설계를 단순화하고 NAND 플래시 칩 및 제어 칩을 MCP 기..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전원이 끊겨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특성을 가진 반도체 전원이 꺼지면 기억된 정보를 모두 잃어버리는 메모리 반도체인 D램, S램과 달리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를 보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일종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자유롭게 입출력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가 적고 고속프로그래밍이 가능 일반적으로 D램은 트랜지스터 1개와 커패시터 1개로 셀이 구성되지만, 플래시 메모리는 트랜지스터 1개로 하나의 셀을 구성 전원이 꺼지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하는 롬(ROM)의 장점과 정보의 입출력이 자유로운 램(RAM)의 장점을 동시에 지닌 특성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 MP3, 휴대전화, USB 드라이브 등 휴대형 기기에서 대용량 정보 저장 용도로 사용 플래시 메모리..
1. NAND 연산 ▶ AND 게이트 뒤에 NOT 게이트를 붙여, 출력이 1이면 0으로, 출력이 0이면 1로 만들어준다. NAND 결과 0 0 1 0 1 1 1 0 1 1 1 0 2. NOR 게이트 ▶ OR 게이트 뒤에 NOT 게이트를 붙여, 출력이 1이면 0으로, 출력이 0이면 1로 만들어준다. NOR 결과 0 0 1 0 1 0 1 0 0 1 1 0 3. 불 대수 ▶ 교환법칙 A + B = B+ A A * B = B * A ▶ 결합법칙 A + (B + C) = (A + B) + C A * (B * C) = (A * B) * C ▶ 분배법칙 A * (B + C) = (A * B) + (A * C) A + (B * C) = (A + B) * (A + C) ▶ 역등법칙 A + A = A A * A = A ▶..
Samba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나필자는 축구를 특히 브라질 축구를 좋아한다. 과거에 호나우두, 호나우지뉴는 필자의 우상이기도 했다. 보통 삼바하면 이 노래가 떠오를 것이다. "쌈바~~ 이탤리~~~"하는 그 곡말이다 ㅋㅋㅋㅋㅋㅋㅋ듣고 싶으면 들어야 한다. 축구화 신고 남미로 떠나보자!!!! 서론이 길었다. 각설하고 컴퓨터 삼바에 대해 알아보자삼바(samba)는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삼바는 액티브 디렉터리 도메인의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삼바는 애플사의 맥 오에스 텐 서버(맥 오에스 텐 버전 10.2로 추가되었다)를 포함하여 리눅스, 솔라리스, AIX 그리고 여러 가지 BSD ..
[WPA Crack]지난 포스팅에서는 한물 간 암호화 기법인 [WEP]을 사용하였지만, 이번에는 요즘 시대에 많이 사용하는 [WPA] 암호화방식을 사용하는 AP의 비밀번호를 알아보자!!WPA(Wi-Fi Protected Access)WEP를 보완하는 암호화 방식으로 WPA Version1, Vesion2가 있음WPA Version1WEP 키 암호화를 보완하는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라는 IEEE 802.11i 표준을 기반으로 함인증 부문에서는 802.1x 및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을 사용 - 동적으로 키 값이 변경WPA Version2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라는 데이터 암호화 기..
[WEP Crack]이번 포스팅에서는 WEP 암호화 방식의 무선랜을 뚫어볼 예정이다. 필자는 여러분들이 이 암호화방식으로 공유기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미 2001년 초, 암호학자들에 의해 그 취약점이 발견되었으며, 2003년 WPA로 WEP를 대채한다는 발표가 있었고, 2004년 WEP-40, WEP-104 사용 중단을 했었기 때문이다. 원리를 파악해보고 무엇이 문제였는지 인지하고, 그걸 kali로 뚫어보러 가보자!WEP (Wired Equivalent Privacy) IEEE 802.11 LAN 표준에 규정되어 있는 WEP 암호화 방식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프레임들을 WEP 비밀 키와 임의로 할당되는 IV(Initialization Vector)로 조합된 KEY를 RC4알고리즘..